2004년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능성에서 계명대 에베레스트 원정대원 박무택, 백준호, 장민 등 세 명의 한국인 산악인이 정상 등정 후 하산하다 목숨을 잃었습니다.
영화 '히말라야'는 동료 박무택 대원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'휴먼원정대'란 이름으로 그 현장으로 떠났던 엄홍길 대장의 실화를 바탕으로 구성한 이야기입니다.
이미 8백만 관객을 돌파하고 있는 이 영화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리고 있습니다.
'실화를 담보로 한 신파'라는 혹평을 하는 이도 있고, '현실과 실제의 이면을 모두 알고 있다'는 듯, 냉소적으로 조소하고 비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.
그러나 감동과 공감은 별개이기도 하지만(이 영화가 신파극이든, 실제 사실 관계가 어떠하든)..
'히말라야'를 본 대부분의 관객들이 이 영화가 그저 실화이기 때문에 더욱 감동을 하고, 검증된 실제 상황과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믿기 때문에 공감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.
이미 '아! 에베레스트'란 타이틀의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된 바 있는 이 이야기가 이처럼 또 다른 감동을 주는 것은 극적 연출과 구성이 생명인 영화적 요소가 보는 이들의 심금을 더욱 자극하기 때문입니다.
히말라야의 장엄한 풍경, 고산지대의 혹독한 환경, 극한의 상황을 버텨내기 위한 인간의 생존본능과 이러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비로소 솔직하게 드러나는 인간성과 진정한 동료애.. 등은 영화가 지닌 극적 요소를 통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더욱 증폭된 감정이입과 동화된 감동을 선사하기 때문입니다.
그리고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를 본다는 것은 현실의 여백을 채우고 덧칠한 바로 이러한 부분들을 수용한다는 것입니다.
따라서 영화 '히말라야'를 감상한 후 진한 동료애와 인간미에 대한 여운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,,
이 영화에 대한 사실 관계의 정확성과 평단의 평론은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라, 바로 이 영화가 선사하는 일련의 감동적인 장면을 통해 스스로 바라던 淨化의 여운을 오래 간직하고 싶어할 뿐입니다.
사람들은 그래서 때로는 다큐멘터리보다도 영화를 통해 더 감동과 공감을 하는 것입니다.
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어쨌거나 버려진 동료의 시신을 수습하러 다시 원정을 떠난 것은 이때의 휴먼원정대가 처음이며, 이마저도 어쩌면 마지막 기록이 될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..
p.s..
휴먼원정대 못지 않게 큰 감동을 준 장면은,, 자신도 목숨을 잃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홀로 박무택 대원을 찾아 나선 동료 박정복(극중 이름, 김인권 분) 대원의 구조 등반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인 산행이었다고 봅니다..
'Movie 메모리 > 한국 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부자들, 디 오리지널:: 권력 매트릭스와 프로그램 조작에 의한 달콤함 (0) | 2016.02.11 |
---|---|
언제나 낯선 모습으로 만나야 하는 애틋한 사랑 (뷰티 인사이드, The Beauty inside) (0) | 2015.11.15 |
'협녀, 칼의 기억' 무리한 설정에 묻혀버린 수려한 영상미 (0) | 2015.10.04 |
댓글